건축기사 합격률 시험 준비 전 확인하자

건축은 우리생활과 아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산업 분야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의식주 중 "주"와 관련되어 있는 분야이죠. 건축물을 설계한 후 그 설계에 맞게 시공을 하고, 감리를 하는 전 과정에 걸친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전문가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건축기사입니다.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집 등 거주공간을 비롯해서 회사들이 입주해 있는 빌딩 건물, 자영업자들이 장사를 하는 상가건물 등 건축이라고 하는 분야는 다른 분야보다도 더 밀접하게 피부로 느겨지는 부분입니다. 작게는 인테리어 관련 직종을 가진 사람부터, 주택을 개보수하는 작업, 그리고 기능에 맞는 건축물을 설계하고 직접 공사하는 데까지 건축기사의 직무 범위를 상당히 넓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업무를 수행하는 필요한 자격증인, 건축기사 합격률은 얼마나 되는 걸까요?




건축기사 합격률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관련 자격증이 생긴 이후부터 현재까지 합격률을 보면 필기는 29%, 실기는 29.4%의 평균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는 모습을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이 생긴 74년도에는 건축구조기사로 불리던 명칭이, 80년대에 들어서서 건축기사 1급으로, 98년도 이후에는 건축기사라는 명칭으로 바뀌면서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으며, 그 시험의 형태 또한 이때마다 조금씩 달라졌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의 건축기사 합격률을 살펴볼 때에는 2001년도 이후의 상황부터는 참고하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른 자격증 시험의 경우 난이도에 따라 그 해의 여건에 따라 합격률이 10% 이상 들쑥날쑥한 경향을 보여주지만, 건축기사 합격률을 살펴보았을 때에는 대체적으로 해마다 합격률이 크게 폭이 나지 않고 평균 합격률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있습니다.


또한 필기 합격률의 경우에는, 준비하지 못한사람 결시생 들도 포함되기 때문에 이 정도 합격률이라면, 준비를 어느정도 한 사람이라면 합격하기에 어려운 자격증 시험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건축기사 시험일정


건축기사 합격률과 함께 시험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건축기사의 정기시험은 1년에 3번 가량 시행됩니다. 실기와 필기시험으로 이루어져 있구요. 현재 시점으로 2017년 5월에 시행되는 정기기사 2회 실기시험, 그리고 정기기사 4회 시험이 남아있네요.




건축기사 취득방법


건축기사의 자격증 시험은 필기와 실기 시험으로 나누어 집니다. 필기시험은 건축계획, 건축시공, 건축구소, 건축설비, 건축관계법류에 대한 과목을 시험보구요. 실기는 건축시공실무 시험을 보게 됩니다.


필기 시험은 사지선다형의 시험으로 과목당 20문항으로 이루어진 시험을 보게되며, 실기는 필답형으로 3시간 가량의 시간동안 시험을 보게 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