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3000 실수령액 얼마나 될까?

직장인 이라면 연봉, 실수령액 등등에 민감해 질 수 밖에 없죠. 간혹 포털같은 곳에서 회사의 월급 같은 기사가 뜨면 그 아래의 댓글에 별별 말이 다 달리곤 하는데요. 취업을 못했거나 혹은 아직 취직 연령이 되지 않은 미성년자 학생들이 단 글을 보면, 연봉을 근로자들이 그대로 모두 받는 돈으로 잘 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연봉 3000 실수령액을 기준으로 이 부분을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물론 직장인들은 모두 알겠지만, 연봉은 그대로 받는게 아니라,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등이 원천징수 된 후 나머지 금액만을 받게 됩니다.



대부분 연봉을 12로 나눈 후 11~13% 가량을 제한 금액을 받겠구나 하고 짐작은 하지만 정확하게 원 단위까지 아는 직장인은 없을 텐데요. 이럴 때 이용하면 좋은 연봉계산기를 통하여 연봉 3000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제가 오늘 포스팅을 하면서 이용할 것은 연봉계산기 이구요. 물론, 다른 취업포털 사이트에서도 제공하지만, 그냥 제가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라 이걸 이용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이용법은 간단해요. 연봉에 3천만원을 입력한 후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주면 연봉 3000 실수령액과 공제액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바로 아래처럼요.




직장인들이라면 알겠지만 연봉 금액 중 가장 큰 공제금액은 국민연금으로 연봉 3천일 때 약 10만원 가량 떼가구요. 그 다음 건강보험, 소득세 등등의 순으로 원천징수액이 결정됩니다.


공제액은 238770원이구요. 직장인의 연봉 3000 실수령액은 2백 2십 6만 1천 2백 30원입니다. 


물론, 회사마다 복지금, 직책수당, 성과금 등에 관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위 금액과는 좀 차이가 나겠죠?


우리나라 직장인 연봉 구간이 연봉 3천에서 3천 5백인데요. 추가로 연봉 35000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공제액은 3십1만1천8백30원이구요. 연봉 3500 실수령액은 2백6십4천8백3십6원이네요.




이렇게 연봉 3500 실수령액이 얼만지 까지 연봉계산기를 통해 계산해 보았습니다. 오늘 세기의 재판이라고 하는 삼성전자 부회장 이재용의 선고가 있는 날인데요. 연봉 3천, 3천400을 계산해보며, 몇십만원을 갖고 이렇게 동동 거리고 있는 직장인들의 삶과 비교해 보니 참..아이러니 하기도 합니다. 에공.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